Spread the love

전세자금대출?

자취하는 사회초년생,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는 신혼부부가 주로 고려하는 전세자금대출. 전세 자금을 위해 받은 대출금을 담보로 대출 받는 상품인데요. 일반 신용대출(제1금융권 기준)보다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어 선호도가 높습니다.

 

주택도시보증공사, 한국주택금융공사, 서울보증보험 등의 보증서를 담보로 전세보증금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인데요. 지금부터 전세자금대출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전세자금대출 종류에는 어떤 게 있나?

1.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(버팀목 전세자금대출)

전세자금대출은 크게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(버팀목 전세자금대출)과 금융권 전세자금대출로 나뉩니다. 이 중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은 근로자 및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마련된 상품으로 연 2.3~2.9%의 저렴한 금리를 제공합니다. 그렇다면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은 어떻게 될까요?

 

주택도시기금에 명시된 정보를 보면 대상은 만 19세 이상 세대주(단독세대주의 경우, 만 25세 이상)으로 무주택자여야 하며, 부부합산 연 소득이 5천만 원 이하(신혼가구 및 혁신도시 이주자, 재개발 이주자는 6천만 원 이하)여야 합니다.

 

대출 대상 주택의 임차보증금이 2억원 이하(서울·경기·인천은 3억 원 이하), 전용면적 85㎡ 이하(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, 또는 면 지역은 100 ㎡ 이하)에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% 이상을 지급한 사람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.

 

대출 한도는 전세 계약서상 임차보증금의 70% 이내인데요. 수도권(서울·경기·인천)은 최대 1억 2천만 원, 그 외 지역은 최대 8천만 원입니다. 다자녀 및 신혼 가구인 경우에는 각각 최대 2천만 원씩 더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. 대출 기간은 2년으로, 총 4회 연장할 수 있어 최장 10년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.

 

단, 대출 기간 연장 시 최초 대출금의 10% 연장할 때마다 최초 대출금의 10% 이상을 상환해야 하는데요. 상환이 어려운 경우, 연 0.1% 금리가 추가로 붙는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금리를 한 번 살펴볼까요? 보증금 5천만 원 이하를 기준으로 부부합산 연소득이 2천만 원 이하는 연 2.3%, 2천만 원 초과~4천만 원 이하는 연 2.5%, 4천만 원 초과~7천만 원 이하일 경우 연 2.7%를 적용 받습니다. 신혼부부, 다자녀, 다문화 가구일 경우 우대 금리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상환방법에는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내다가 만기일에 대출 전액을 갚는 ‘만기일시상환방식’, 대출 기간 동안 원금의 10%를 나눠 갚고 남은 90%를 만기에 일시상환하는 ‘혼합상환방식’이 있는데요. 혼합상환방식은 이자 및 보증수수료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 만약 상환 방법을 변경하고 싶다면 대출 기한 연장 시, 내 자산상태를 적절하게 고려해 만기일시상환방식이나 혼합상환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릴게요.

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보다 자세한 사항은 우리은행, KB 국민은행, 신한은행, IBK기업은행, KEB하나은행, NH농협은행 등 6개 기금 수탁은행 방문 및 주택도시기금 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
 

2. 금융권 전세자금대출

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자격은 연소득, 임차보증금, 주택 소유 여부 등 명확한 기준이 있는데요. 만약 이 조건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에는 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은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과 달리, 주택 소유 여부, 연소득 기준 등에 상관없이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.

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은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상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. 일반적으로 제1금융권은 제2금융권 대비 금리가 낮지만 대출조건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입니다. 기업은행, 농협, 우리은행 등 제1금융권의 전세자금대출은 신용등급 1~6등급까지 가능하며, 금리는 은행연합회 웹사이트의 전세자금대출 통합 비교에서 상품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종합금융회사, 저축은행, 캐피탈 등 제2금융권의 전세자금대출은 7등급 이하도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반면, 제1금융권 대비 금리가 높은데요. 제2금융권에서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후, 한국주택금융공사의 ‘징검다리 전세보증‘으로 전환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징검다리 전세보증

제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분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‘징검다리 전세보증’ 프로그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징검다리 전세보증은 제2금융권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주택금융공사가 100% 보증하고 대출 이자가 낮은 제1금융권의 전세자금 대출로 변경해주는 제도인데요. 부부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전세 거주자로 제 2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세대주라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한 가지 꿀팁을 드리자면 주거래 은행의 경우, 거래 실적(공과금/관리비 이체, 주거래은행 신용카드 실적 등)에 따라 전세자금대출 시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. 금융권 대출을 고려하시는 경우라면 주거래은행의 우대금리 혜택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.

 

은행가기 전 무료로 신용등급 확인해보기

앞서 확인한 것처럼 전세자금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각 상품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특히, 신용등급은 대출 신청 가능 기준 및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. 높은 신용등급은 대출 가능성을 높일뿐 만 아니라, 상대적으로 유리한 대출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
전세자금대출과 관련해 신용 등급 조회가 필요하다면 토스의 무료 신용등급 조회를 이용해보면 어떨까요? 토스에서는 신용평가사(KCB)와 제휴를 통해 신용등급 조회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. 전세자금대출 신청 시, 적절한 상환 가능 금액을 고려한 후 결정하는 게 필요하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.

출처-toss

내신용등급이 궁굼하다면 ?

[button url=”https://toss.im/?pid=tossfeed&c=tossfeed_total_brand&is_retargeting=true&af_adset=2018-04-22_deposit-money-lease-house” target=”blank” size=”5″]토스사용하기[/button]

전세자금대출을 고려중이시면 유리하게 알아보기

Spread the love